취업 준비

[CS] 네트워크 - 라우팅 프로토콜

유포도 2023. 6. 25. 00:14

라우팅 프로토콜은 외부와 내부로 나뉜다.

외부 프로토콜은 AS간에 교환할때, 내부는 AS안에서 교환할때

 

인터넷은 여러개의 AS가 연결되어있는 구조

 

AS (Autonomous System) - 자율시스템

  • 각 AS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
  • 하지만 AS 간에는 반드시 하나의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해야 한다

Distance Vector Routing (거리벡터 라우팅)

  • 두 노드 사이의 최소 비용 경로의 최소 거리를 갖는 경로
  • 경로를 계산하기 위해 Bellman-Ford 알고리즘을 사용 함
  • RIP, IGRP, BGP
  • 알고리즘의 동작
    • 각 라우터는 주기적으로 자신이 보유한 전체 인터넷에 대한 정보를 이웃 라우터와 공유한다.
    • 알고리즘의 동작을 통해 새로운 라우팅 테이블을 만들 수 있다.
  • RIP (Routing Information Protocol)
    • 사용되는 메트릭은 홉수로 한다.
    • 도달 불가능한 경우 메트릭의 값을 16으로 한다.
    • 이웃 노드는 라우터의 주소가 된다.

Link State Routing (링크 상태 라우팅)

  • 모든 노드가 전체 네트워크에 대한 구성도를 만들어서 경로를 구한다.
    • 각 노드는 다른 모든 노드로의 최단 경로를 구한다
    • 각 노드는 Dijkstra's 최단 경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라우팅 테이블을 구축한다
    • 네트워크에 변화가 생기면 (링크 장애 등) 각 노드는 네트워크 구성도를 갱신해야 한다
  • OSPF (Open Shortest Path First) 라우팅 프로토콜은 링크 상태 라우팅 방법을 사용한다.

Path Vector Routing (경로 벡터 라우팅)

  • BGP(Border Gateway Protocol)은 AS간 라우팅 프로토콜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