디렉토리 관련 명령어

ls (List)

  1. 디렉토리의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
  2. 사용법 : ls 옵션 디렉토리
  3. #ls -al / #ls -la 

 

-a  숨김파일 및 디렉토리까지 출력 (all, 공통 옵션)
-l 속성(Metadata)까지 출력
-h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용량을 식별하기 쉽게 변환해서 출력
(공통옵션)
-i inode Number까지 출력
  • inode: Linux에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관리하는 고유한 번호
-R 하위 디렉토리의 내용을 모두 출력 (r or R 하위 디렉토리의 의미)

mkdir (Make Directory)

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명령어, 한번에 여러개 생성 가능

  1. 사용법 : mkdir  옵션 디렉토리명 / mkdir 디렉토리명1 디렉토리명 2 ….
  2. 옵션
    • -p : 하위디렉토리까지 한꺼번에 생성
      • #mkdir -p 1/2/3/1/2/3

rmdir (Remove Directory)

  1. 디렉토리 삭제 명령어
  2. 빈 디렉토리만 삭제 가능
  3. 사용법: rmdir 옵션 디렉토리명 / rmdir 디렉토리명1 디렉토리명2 …
  4. #rmdir -p 1/2/3/1/2/3 : 하위 디렉토리까지 한번에 제거 (단, 디렉토리가 비어있어야함)
  1. rm
    1. 파일 삭제 명령어
    2. 옵션
      • -r : 디렉토리도 삭제하게 해줌
      • -f :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삭제
      •  

파일생성 명령어

#touch 파일명

  • 0byte 파일생성

#cat > 파일명       

  • 파일생성, 내용 입력후 ctrl+d 저장
  • cat >> 파일명      파일 마지막에 내용추가

#vi 파일명               

  • 파일생성, 편집모드에서 내용 입력 후 :wq 저장
  1. cd (Change Directory)
    1. 디렉토리 간 이동
    2. 사용법: cd 경로지정
    3. 옵션 
      • . : 현재 디렉토리
      • .. : 상위 디렉토리
      • - : 바로 직전 작업 디렉토리
      • ~ : login 사용자의 홈디렉토리
    4. 절대경로 : 무조건 최상위 디렉토리부터 지정 , 어느 디렉토리에서 사용하던 동일 결과값을 보장
    5. 상대경로 : 현재 제가 작업하고 디렉토리 기준, 현재 작업하는 디렉토리의 위치에 따라서 결과값이 달라짐.
  2. cp 
    1. 파일 및 디렉토리 복사
    2. 옵션
      • -a : 속성정보까지 복사
      • -r : 디렉토리 복사
      • -i : 한번 더 질문
      • -f : 강제로 복사
  3. mv 
    1. 파일 및 디렉토리 이동
    2. 파일의 이름 변경 가능
  4. ln (링크)
    1. 파일을 똑같이 복사, 아이노드도 복사, 완전히 같은 파일
    2. 수정하면 같이 바뀌고, 원본이 삭제돼도 영향 x
    3. 디렉토리는 안됨 → 이를 보완한게 소프트링크 (ln -s)
    4. -s (소프트링크) 는 원본이 삭제되면 같이 삭제됨
  5. 부록 - 디렉토리 구조
    • / --------------  : Root 디렉토리, 윈도우의 c:\ 
        boot : 부팅에 관련된 파일
        etc :중요 설정 정보 저장
        dev :장치관련 드라이버
        lib 공유 라이브러리 : lib 함수들의 모음(lib)
        lib64 공유 라이브러리 : 64bit용
        var : log 정보 저장
        home :사용자의 홈디렉토리 : a 사용자를 생성하면 /home/a 라는 사용자 홈디렉토리 생성됨
        root : root 사용자의 홈디렉토리, 리눅스의 최고 관리자 계정으로 /home 에 존재하지 않고
      root(최상위디렉토리) 디렉토리 하위에 생성됨.
        tmp : 임시 디렉토리, 압축 해제 등에 임시 파일 저장에 사용됨.
        usr : 사용자들이 설치하는 App들이 존재하는 디렉토리
        bin 명령어 : 사실은 utility 이다. 필수적인 사용자 명령어
        sbin 명령어 : 사실은 utility 이다. 필수적인 시스템 관리 명령어

 

복사했습니다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