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TP (Spanning Tree Protocol)

1. Bridge(Switch)의 Loop 방지하기 위해 특정 포트 차단

2. 목적지에 도달하지 못하고 계속 네트워크를 돌아다닌다.

 

Block Port 찾는 법

1. Bridge ID를 비교하여 Root Bridge를 찾는다.

2. Root가 아닌 브릿지들은 Root 브릿지로 가는 최소 Cost 값을 갖는 포트를 Root Port로 지정한다.

 

Root Bridge의 CLI 창에서 #show spanning-tree 명령어를 실행보면

Root ID가 본인의 주소로 되어있고 This bridge is the root 라는 문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Non Root-Bridge인 스위치의 spanning tree를 확인해보면

Root ID는 Root Bridge인 스위치의 주소이고 포트의 역할이 각각 Altn, Root인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원하는 포트를 Block Port로 설정하기

원하는 포트를 Block Port로 만들기위해서는 Bridge ID를 작게 만들어줘야 하는데 MAC Address는 고유한 값이므로 변경할 수 없습니다. 그러므로 Priority 값을 조정해 설정하겠습니다.

 

Root Bridge로 만들 스위치에

#spanning-tree vlan 1 root primary 

명령어를 입력하면 Priority를 기본값인 32768보다 작은 24577 값으로 낮춰줘서 Root Bridge로 만들어줍니다.

 

 

Backup Bridge 로 만들 스위치에는

#spanning-tree vlan 1 root secondary

를 입력하면 Priority값을 28673으로 낮춰줍니다.

 

 

또 다른 방법으로는 priority 값을 직접 지정해줄수 있습니다.

priority 값은 4096 단위로 증가하며 그에 맞는 값들을 직접 입력해주면 Root Bridge와 Backup Bridge를 원하는대로 지정할수있습니다.

#spanning-tree vlan 1 priority [4096단위값]

'IT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Network] ACL  (0) 2022.12.01
[Network] VTP (Vlan Transfer Protocol)  (0) 2022.11.30
[Network] VLAN (L3 Switch)  (0) 2022.11.29
[Network] VLAN 설정  (0) 2022.11.28
[Network] OSPF  (0) 2022.11.24
복사했습니다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