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rticle thumbnail image
Published 2022. 12. 9. 11:35
1번 Docker에는 php가 포함된 웹서버를, 2번 docker에는 mysql를 container를 설치해서 연동 시키세요.

2번서버에 mysql:5.7 설치

m1이라는 이름으로 mysql:5.7을 실행해줍니다. 

포트포워딩은 외부 63306번을 내부 컨테이너의 3306번으로 가게 설정합니다. 

 

테이블 생성

mysql client는 2번서버에 설치해도 되고, 1번 서버에서 포트포워딩해서 접속해도 됩니다.

mysql과 client 설치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.

 

# yum -y install http://dev.mysql.com/get/mysql57-community-release-el7-11.noarch.rpm

 

저는 1번 서버에 설치했으므로 포트포워딩해서 2번서버의 sql에 접속하겠습니다.

--port 옵션으로 포트 지정

mysql 접속 후 테이블을 생성해줍니다.

show 명령어로 생성된 데이터베이스 확인

 

 

웹서버 설정 (1번서버)

httpd와 php가 결합된 polinux/httpd-php 이미지를 다운받아줍니다.

 

p1이라는 이름으로 httpd-php 컨테이너 생성 

포트포워딩은 외부 60080 포트를 내부컨테이너 포트 80번으로 설정

 

php 파일 수정

실제 PC 바탕화면에 php 파일들을 미리 받아놓고 cmd 창에서 1번 서버로 복사해줍니다.

 

sql은 2번 서버 10.0.0.22:63306에 있으므로 그에 맞게 설정들을 변경해줍니다. 

index.php
insert1.php
person1.php
table1.php

 

httpd 설정 수정

p1의 shell로 접속해서 httpd 설정을 바꿔줍니다.

:

164번줄 index.php로

다 끝나면 컨테이너로 php 파일들 복사해줍니다.

 

확인

 

복사했습니다!